•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자유 아 조태룡 보니 어느 일본인 블로그가 쓴 글이 생각나네요.

나드리
172 3

일본식 회의는…

 

일본인1(진행자):그럼 먼저, 지난번에 이야기했던○○○○인데요, 부장님꼐서 말씀하시는 대로 ○○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일본인 2-5:네, 알겠습니다.

일본인1(진행자):그리고, ○○○○도, ○○○○쪽에서 이렇게 해달라는 의뢰가 있었고, 다○○○○쪽에서 해주신다고 합니다. 이것도 괜찮죠?

일본인 2-5:네, 알겠습니다.

 

여기가지는 문제가 없다. 그 다음이 문제다.

 

일본인1:그리고 ○○○○라는 문제가 있는데 이게 영향이 크니까 어떻게 해야 하는데…

일본인2:맞아요. ○○○○에도 영향이 있고, ○○○○에도 영향이 있고 문제가 심각해요.

일본인3:맞아요, 맞아요. 어제도 이것때문에  문제가 발생해서 고생했어요.

일본인4:맞아요, 맞아요, 맞아요. 여러부분에서 문제가 있어요.과장님, 어떻게 할까요?

일본인5(과장님):글세요. 저도 이게 큰 문제라는 것은 인식하고 있어요. 부장에게도 보고 드리고 다른 부서사람에게도 보고도 하고요. 어떻게 하지?

일본인 1~4;글쎄요…..

일본인5(과장님):시스템 수정을 해서 어떻게 안 되나요?

일본인 1;글쎄요…더욱 검토가 필요할 것 같은데요..

일본인 2~4;그러네요….

 

‘이엇이 문제다!’라고 말할 때에는 시끄러웠던 사람들이 갑자기 말이 없어지고 끝이 보이지 않는 회의가 되버린다.

 

한편 한국인 동료 2명과 같이 하는 한국식 회의는 아주 싱플하다.

 

나:○○○○라는 문제가 있는데 이게 영향이 크니까 어떻게 해야 하는데.

한국인1:그러면  시스템 바로 바꿔요.

나:아마 비용이 비싸서 안 될 것에요.올해 예산안에서는 못할 거에요.

한국인2:그러면 그 시스템 필요한 서비스자체를 없애버리는 것 어때요?

한국인1:맞아요, 어짜피 그 서비스로 들어가는 돈도 그렇게 많지 않잖아요. 일단 다 없애고 나중에 여유가 생기면 다시 새로운 것을 만들면 되요.

나:음,정말 그렇네요.

이렇게 싱플하게 끝을 본다.

 

이런 경험 저럼 경험을 통해 보이게 되었던, 일본인의 회의 및 한국인 회의의 특징을 정리해보면,  

 

  1. 일본인은 회의는 뭔가 새로운 의견을 같이 나누려고 하는 장이 아니라 이미 결정된 것을 확인 또는 공유하는 장으로만 생각하고 있다.
  2. 일본인은 과거에 발생한 사실, 문제를 보고하는 것은 잘하는데, 해결법을 제안하는 것은 잘 못하고 피한다(자신의 제안이 채택되었을 때 책임을 져야 되는 것을 걱정해서).
  3. 일본인은 과감하게 결정을 내리는 것을 피한다. 특히 YES or NO의 판단을 내리는 것은 잘 못한다. (Yes이기도 한데, NO이기도 하는 어중간한 의견을 좋아하는 게 일본인이다)

 

한편 한국식 회의, 한국인의 회의에 대한 생각의 특징은

  1. 한국인은 확인 또는 공유만을 위한 회의는 필요없다고 생각하고 있다. 뭔가 새로운 발견을 해야한다.
  2. 한국인은 자신이 그 일을 담당 하든 말든 생각냈던 아이디어는 다 제안 하려고 한다.
  3. 회의는 끝을 봐야 마음이 시원하다. YES or NO 중간은 없서. 결론이 보이지 않으면 ‘그래서? 어쩌라고’공격으로 끝까지 결론을 찾으려고 한다.

출처: http://blog.naver.com/yukakitako/117324648

 

조태룡이 강원을 맡은 이후의 행적  

 

강원으로 옮긴 뒤 구단 전반에 걸쳐 ‘메스’를 댄 끝에 경영 쇄신과 더불어 승격이란 두마리 토끼를 잡는 데 성공했다. 자본금 잠식으로 해체 위기까지 몰렸던 구단 재정 상황과 관련해 지출 시스템을 확 뜯어고쳤다. 한해 90억원 가까이 달한 관리비용을 25%나 줄였다. 경영 정상화와 팀의 호성적까지 맞물리며 기존 후원사가 두 배 가까이 늘었다.

 

그리고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했었음..

 

나는 의사결정이 분명한 스타일이다. 선수 영입, 선수 계약에 대해 시원시원하게 한다. 아니면 확실히 아니고. 현금이 가장 큰 힘이다. 나도 금융회사에 있었다. 부동산, 주식, 금, 이런 것보다 위대한 것은 항상 화폐다. 화폐를 들고 있을 땐 과감한 결정을 해야 한다. 골게터가 골을 넣는 것처럼 과감한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시즌이 끝나면 프런트의 시즌이다. 선수 영입, 기존 선수 계약, 전지훈련, 경기 마케팅 계획 수립 등 다양한 일이 있다. 프런트의 시즌을 즐기고 있다.

 

 

만약 일본이었다면 신중하고 조심스러워서 뭘 확 뜯어고치고 그런 건 못했을듯

 

대신 신중하게 히기 때문에 자금 구조면에서는 더 안정적일거라고 생각하지만.

 

 

 

 

나드리
1 Lv. 262/360P


작성된 서명이 없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

댓글은 회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공유

퍼머링크

첨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