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
  • 아래로
  • 위로
  • 쓰기
  • 검색

자유 조성진, 김은선을 생각하며

Blueshine
487 13 3

군대에 있는 선수 원하든것 자체가 팀에 문제가 있다는 거지.

추억을 몇가지 꺼내보려함.

(참고로 검은 화살표는 선수의 움직임, 빨간 화살표는 볼의 움직임임)

 

서정원 감독의 특색이 없던 시절.

김은선, 조성진이 오고 확연히 팀이 달라짐.

 

4-4-1-1과 4-1-4-1이 정착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고 생각.

 

1. 조성진의 키핑

조성진은 수비의 본분인 수비력에서는 아주 눈에 띄는 편은 아니야.

특별하단 느낌은 안들어.

 

하지만 볼을 가장 안정적으로 키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음.

전개력은 아마 국내선수 중 최 정상급이지 않을까.

 

1.PNG

 

파트너가 누구이든 같이 짝을 맞추어 볼을 앞으로 가지고 나가는 능력이 출중해.

이로인해 남은 인원들이 수비에 부담없이 앞선에서 움직임을 가져 갈 수 있는 장점이 있지.

 

 

2. 김은선의 이동

 

2.PNG

 

조성진이 짝을 맞추어 볼을 중앙선 근방까지 가지고 올라오면 김은선도 슬슬 활동을 시작함.

 

김은선은 센터백 사이 공간으로 내려가고 좌우 센터백은 측면 공간으로 넓게 섬.

 

 

3. 여러가지 공격 전개

 

3.PNG

 

수비진에서 변형적인 3백이 되었다.

김은선이 내려가면서 상대도 따라 압박을 가기에 순간적으로 빈공간이 생긴다.

 

- 센터백이 측면으로 볼을 줘 측면 공격을 노리는 경우

센터백은 다시 공간을 좁혀 원래의 위치간격을 유지하며 김은선은 다시 전방으로 올라가 미들 싸움을 벌인다.

 

- 김은선과 중앙미들의 빌드업

사실 이건 김두현이 설때와 권창훈이 설때가 약간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키핑이 되거나 오프볼 움직임이 되는 중미와 함께 김은선이 원투 패스로 가운데에서 상대 압박을 몰고 와서 측면으로 내줘 측면의 기회를 만드는 상황.

 

 

하지만 우리의 전술은 김은선의 부상이후 폐기 되었음.

당시 조성진 컨디션도 썩 좋은 편이 아니라 주전에서 좀 밀린 상황이기도 했고.

 

 

수비형 미들의 전술 이해도와 많은 활동량 뿐 아니라 빠르게 공간을 제어할 수 있는 기동력도 필요한 상황.

 

그외 수비형미들의 경우 뭔가 하나씩 부족했고 그래도 고만고만하게 메워줄만한 선수가 종성이지 않나.

하지만 저정도의 수비 부담을 갖게 된다면 종성이도 힘들거야.

 

말이 샜는데

김은선의 부상이후 나온 조성진의 경우 기동력이 많이 떨어지다보니 수비 보호는 하지만 공격이 안되는..

백지훈의 경우 공격 연계는 되지만 수비력이 떨어져 수비 보호가 안되는..

박현범의 경우 기동력이 너무 떨어져서 간격 유지가 안되는..

 

뭐 이래저래 힘들었네.

 

두선수 올해는 큰 기대 안함.

군 복무 잘 마치고 내년에 도움이 되길.

Blueshine
3 Lv. 921/1440P


작성된 서명이 없습니다.
신고공유스크랩

댓글은 회원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

공유

퍼머링크